교원능력평가 폐지, 정말 현실화되나? 최교진표 교육개혁 1호 파헤치기
최교진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핵심 공약 '교원능력평가 폐지'. 왜 폐지하려는지, 대안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 변화가 우리 아이에게 미칠 영향을 찬반 논쟁과 함께 심층 분석합니다.
Photo by Compare Fibre on Unsplash
교원능력평가 폐지, 정말 현실화되나? 최교진표 교육개혁 1호 파헤치기
"우리 아이 선생님, 어떤 분일까?"
매년 학부모와 학생들이 참여하는 '교원능력개발평가'(교원평가). 교사의 전문성에 대해 의견을 전달하는 공식적인 창구였죠. 그런데 [최교진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의 등장으로 이 제도가 14년 만에 폐지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교육계가 들썩이고 있습니다.
과연 교원평가는 왜 폐지 논란의 중심에 섰을까요? 그리고 폐지된다면, 그 대안은 무엇일까요? 오늘은 '최교진표 교육개혁 1호'가 될 가능성이 높은 이 뜨거운 쟁점을 학부모와 학생의 입장에서 심층 분석해 보겠습니다.
교원능력평가, 무엇이 문제였나?
2010년 도입된 교원평가는 교사의 전문성을 높인다는 긍정적인 취지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는 여러 문제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습니다.
- '인기투표'로의 변질: 교사의 수업 능력보다는, 학생과의 관계나 인기 등에 따라 평가가 좌우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 과도한 행정 부담: 평가 결과를 처리하고 보고서를 작성하는 과정이 교사들에게 큰 행정적 부담으로 작용하여, 정작 중요한 수업 준비에 쏟을 에너지를 빼앗는다는 비판이 많았습니다.
- 성희롱·모욕의 창구 악용: 일부 학생들이 서술형 문항에 교사에 대한 인신공격이나 성희롱적인 내용을 담아 교권을 침해하는 심각한 부작용도 발생했습니다.
최교진표 대안: '교원역량개발지원 제도'란?
최교진 후보자는 교원평가를 폐지하는 대신, 교사들이 '평가'가 아닌 '성장'에 집중할 수 있도록 '교원역량개발지원 제도' 도입을 주장합니다.
핵심은 '자발성'과 '동료애'입니다.
이 제도는 교사들이 점수를 매겨 평가받는 방식이 아니라, 동료 교사들과 함께 수업을 연구하고, 서로의 수업을 참관하며 조언을 나누는 등 자발적인 학습 공동체를 통해 전문성을 키워나가는 것을 골자로 합니다. 즉, '평가를 통한 강제'가 아닌 '지원을 통한 성장'으로 패러다임을 바꾸자는 것입니다.
Photo by Matheus Bertelli on Unsplash
찬반 논쟁: 기대와 우려
👍 기대 (찬성 측)교사들의 행정 부담이 줄어 수업과 학생 지도에 더 집중할 수 있다.교사들이 평가에 대한 압박감에서 벗어나 자발적으로 전문성을 키우는 문화가 정착될 것이다.교권 침해의 소지가 있는 평가 방식이 사라져 교사들의 사기가 진작될 것이다.
👎 우려 (반대 측)학부모와 학생이 교사의 수업에 대해 공식적으로 의견을 낼 창구가 사라진다. ('깜깜이 평가' 우려)스스로 발전하려는 의지가 없는 교사에 대한 최소한의 견제 장치가 사라질 수 있다.교사 집단의 폐쇄성이 강화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결국 '교원평가 폐지' 문제는 앞으로 열릴 인사청문회에서 가장 뜨거운 쟁점이 될 것입니다. 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존중하면서도, 학부모와 학생의 알 권리를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 논쟁의 핵심을 더 깊이 이해하고 싶다면, [최교진, 전교조 출신 첫 교육부 장관? 우리 아이 교육은 어떻게 바뀌나?] 포스트를 통해 그의 교육 철학 전체를 확인해보세요.
평가 제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유지, 보완, 폐지 중 어떤 의견이신지 댓글로 알려주세요!